본문 바로가기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3)
CH2 : Application Layer (3) * 이 글에 관련된 모든 내용은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7th에서 가져온 내용이다. * HTTP는 stateless한 protocol이다. - 서버는 응답을 보내고 나면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보를 잊어버린다. HTTP의 이러한 성질은 user의 identity를 이용하는 여러 과정에서 불편함을 겪는다. 이러한 HTTP의 stateless한 성격을 해결하기위해 cookie라는 아이디어를 사용한다. 이미 익숙한 사람들도 많이 있을 것이다. Cookie cookie의 기본아이디어는 다음과같다. - 서버가 한 유저를 indentify하면 응답할 때 헤더(identifier for user)를 붙여 보낸다. - 클라이언트는 해당 헤더를 디스크에 저장하고, 같은 서버에..
CH2 : Application Layer (2) * 이 글에 관련된 모든 내용은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7th에서 가져온 내용이다. * Web and HTTP 웹페이지는 objects(HTML file, JPEG image, Java applet, audio file etc)로 이루어져있다. 또한 웹페이즈는 여러 refrenced objects를 포함하는 base HTML-file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오브젝트들은 각각 Uniform Resource Locator에 의해 addressed 되어있다. 이를 줄이면 URL, 우리가 아는 그 URL이다. - Hypertet/Hypermeida system : 정보들은 objects의 셋으로 organization되어있다. HTTP(Hyper Text Tran..
CH2 : Application Layer (1) * 이 글에 관련된 모든 내용은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7th에서 가져온 내용이다. * 어플리케이션 레이어는 우리에게 가장 친숙한 레이어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어떤 service application은 모두 이 레이어에 적용되기 때문이다. program을 개발할때는 네트워크 코어에 대해서(이 end system에 존재하는 app이 다른 end system과 어떻게 통신할지)는 고려하지 않는다. 때문에 app개발은 더욱 더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다. 이 글에서는 Application Layer챕터에서 배울 내용을 간략하게 설명하고 각 내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뒤 내용에서 한다. Application archtectures 어플리케이션의 구조에는 세가지의 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