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레이어

(4)
CH4 : Network Layer (4) * 이 글에 관련된 모든 내용은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7th에서 가져온 내용이다. * IPv6 IPv6가 나오게된 배경은 그동안 말했듯이 IPv4의 주소부족현상 때문이다. 때문에 주소의 bit수를 늘려서 더 많은 주소를 처리할 수 있게끔 한다. 또한 IPv4에 비해 헤더도 바뀌었는데, 목적은 더 빠른 프로세싱과 QoS를 지원하기 위해서다. 헤더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한눈에 보기 편한 그림이 있어서 가져왔다. 일단 헤더의 길이는 기존 IPv4에서는 가변이었다. (20~60) 그러나 IPv6에서는 헤더의 크기가 40으로 고정이기 때문에 헤더의 길이에 대한 부분과 옵션에 대한 부분이 없어졌다. 또한 IPv6는 fragmentation을 지원하지 않는다. 때문..
CH4 : Network Layer (3) * 이 글에 관련된 모든 내용은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7th에서 가져온 내용이다. *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는 host가 켜졌을 때 자동으로 네트워크를 찾게 해주는 프로토콜이다. (예를 들어 우리가 컴퓨터를 키면 컴퓨터가 자동으로 네트워크를 찾아주듯이) DHCP서버는 전원이 켜진 host에게 자신의 서브넷 네에서 사용할 수 있는 IP를 할당해주는데, 한번 IP를 주고나서 host가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는데도 IP를 할당받은 채로 있으면 IP주소의 낭비가 발생한다. 따라서 lifetime도 함께 넘겨줘서 해당 시간내에 다시 요청이 오지 않으면 클라이언트는 할당받은 IP를 반납하는 식으로 구성된다..
CH4 : Network Layer (2) * 이 글에 관련된 모든 내용은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7th에서 가져온 내용이다. * IPv4 Addressing 각 인터넷 host들은 universally하게 uinque한 IP 주소를 가지고 있다. 라우터와 Layer1 (피지컬 레이어)사이에 있는 인터페이스를 NIC라고 한다. (Network Interface Card) IP는 이 인터페이스의 포트에 적용된다. 한 라우터에 여러개의 호스트가 접근해야 하기 때문에 Multi-homed라고 한다. 여러개의 IP가 접근해 오는 포트를 IP로 구분할 수 있다. IP주소는 계층적 구조를 가진다. network number + host number (총 32비트)로 이루어져 있는데, 같은 network에 존재..
CH4 : Network Layer (1) * 이 글에 관련된 모든 내용은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7th에서 가져온 내용이다. * 네트워크 레이어 목적지 IP를 base로 하여 host to host간의 패킷 전송을 담당한다. 네트워크 레이어에는 두가지 기능이 있다. 1. Data plane (데이터 전송 담당) - fowarding : 현재 라우터에서 적당한 라우터로 패킷을 어떻게 전송할 것인가? - Per-router fucntion : local의 하나의 라우터에서만 작동한다. 2. Control plane (전송 제어 담당) - routing : source로부터 destination까지 패킷의 route를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 - Network-wide function : Data p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