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87) 썸네일형 리스트형 CH2 : Application Layer (2) * 이 글에 관련된 모든 내용은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7th에서 가져온 내용이다. * Web and HTTP 웹페이지는 objects(HTML file, JPEG image, Java applet, audio file etc)로 이루어져있다. 또한 웹페이즈는 여러 refrenced objects를 포함하는 base HTML-file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오브젝트들은 각각 Uniform Resource Locator에 의해 addressed 되어있다. 이를 줄이면 URL, 우리가 아는 그 URL이다. - Hypertet/Hypermeida system : 정보들은 objects의 셋으로 organization되어있다. HTTP(Hyper Text Tran.. CH2 : Application Layer (1) * 이 글에 관련된 모든 내용은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7th에서 가져온 내용이다. * 어플리케이션 레이어는 우리에게 가장 친숙한 레이어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어떤 service application은 모두 이 레이어에 적용되기 때문이다. program을 개발할때는 네트워크 코어에 대해서(이 end system에 존재하는 app이 다른 end system과 어떻게 통신할지)는 고려하지 않는다. 때문에 app개발은 더욱 더 빠르게 성장할 수 있었다. 이 글에서는 Application Layer챕터에서 배울 내용을 간략하게 설명하고 각 내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뒤 내용에서 한다. Application archtectures 어플리케이션의 구조에는 세가지의 형.. CH1 : Computer Networks and the Internet (4) * 이 글에 관련된 모든 내용은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7th에서 가져온 내용이다. * 네트워크는 너무너무 복잡하다. 복잡한 시스템을 간단하게 바꾸기 위해선 다음과 같은 과정이 필요하다. 1. 복잡한 시스템을 작고 관리가능한 엔티티로 쪼갠다. 2. 어떤 레이어간의 인터페이스가 잘 정의되어있으면 각 레이어의 세부요소는 독립적으로 디자인, 실행될 수 있다. 3. 각 레이어의 실행측면에서의 세부요소는 다른 레이어와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바꾸고 관리가 가능하다. 4. 작고 잘 정의된 엔티티(레이어)는 표준화하기가 쉽다. 때문에 네트워크를 초기 구상한 개발자들은 복잡한 네트워크를 몇단계의 레이어로 나누어 관리하기로 하기로 했다. 각 프로토콜 오브젝트들은 두개의 다른 .. CH1 : Computer Networks and the Internet (3) * 이 글에 관련된 모든 내용은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7th에서 가져온 내용이다. * Network Performance Network의 performance는 다음 세가지를 평가한다. 1. Throughput : 우리가 네트워크 상에 실제로 얼만큼의 데이터를 보낼 수 있는지 (일반적으로 bit/second 단위로 표현) 2. Delay (latency) : 보낸 데이터가 얼만큼의 시간 후에 도착하는지 3. Loss : 얼만큼의 loss가 발생하는지 이번 챕터에서는 delay에 대한 내용을 다룰 것이다. Delay 딜레이는 보통 네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queueing delay : 전송되기 까지 큐에서 기다리는 시간이다. 즉, router의 혼잡정.. CH1 : Computer Networks and the Internet (2) * 이 글에 관련된 모든 내용은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7th에서 가져온 내용이다. * 네트워크 코어 네트워크 코어는 end system간의 통신을 담당한다. 이때 네트워크의 메시지 전달방식에는 크게 두가지가 있다. (Messeage-switching은 생략) 1. Circuit Switching(회선 교환 방식) 2. Packet Switching(패킷 교환 방식) 여기서 Packet Switiching은 다시 Datagram방식과 Virtual-Circuit방식으로 나뉜다. Circuit Switching (회선 교환 방식) 이 방식은 end system간의 통신에서 어떤 링크를 사용중이라면 이 링크는 다른 end system에서 사용할 수 없게하는 방.. CH1 : Computer Networks and the Internet (1) * 이 글에 관련된 모든 내용은 Computer Networking A Top-Down Approach 7th에서 가져온 내용이다. * 네트워크란? - The interconneciton of a set of devices capable to - PSTN(전화), Internet, cable network, N-ISDN, B-ISDN 등 인터넷이란? 인터넷은 네트워크의 한 종류라고 할 수 있다. -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 느슨한 계층적 구조 - 서로 연결된 독립적인 네트워크들을 이룬 set 인터넷 네트워크는 다음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있다. 호스트는 end system이다 : 네트워크 app을 실행중인 링크란 물리적으로 두개 이상의 노드를 연결하는 것이다. - fiber, copper, radio, sa.. C++ 백준 20171 (Dessert Cafe) 백준 20171 (Dessert Cafe) https://www.acmicpc.net/problem/20171 20171번: Dessert Café Your program is to read from standard input. The input starts with a line containing two integers, n and k (3 ≤ n ≤ 100,000 , 1 ≤ k ≤ n), where n is the number of candidate sites and k is the number of apartment complexes. The candidate sites are n www.acmicpc.net 일단 N개의 노드에서 항상 N-1개의 간선이 주어지므로 스패닝트리로 볼 수 있다. 이 문제.. C++ 백준 2270 (하노이 탑) 백준 2270 (하노이 탑) https://www.acmicpc.net/problem/2270 2270번: 하노이 탑 첫째 줄에 정수 n(1≤n≤1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세 정수 a, b, c가 주어진다. 이는 차례로 1, 2, 3번 막대기에 꽂혀 있는 디스크의 개수이다. 이는 0이상 n이하이며, a+b+c=n이다. 다음 3개의 줄 www.acmicpc.net 기본 하노이탑 문제 응용버전이다. 하노이탑 기본문제 (1~N까지 차례로 쌓인 탑을 다른 rod로 옮기는 문제)는 여기(링크)에 있다. 꼭 이해하고 오자. 1~N까지의 차례로 쌓인 탑을 옮길때는 2^N-1만큼의 횟수가 소요된다고 했다. 그렇다면 탑이 차례로 쌓여있지 않고 뒤죽박죽 섞여있을 때는 어떻게 될까? 이 문제가 바로 그것이다... 이전 1 ··· 5 6 7 8 9 10 11 다음